연구소 소개
연구·학술 활동
안내·소식
자료실
연구소의 목적과 방향성
연구소 연혁
연구소 사람들
학술 행사
공동 연구
연구 결과로서의 저술
공지사항
연구소 소식
연구소 회칙
연구소 소개
연구소의 목적과 방향성
연구소 연혁
연구소 사람들
연구·학술 활동
학술 행사
공동 연구
연구 결과로서의 저술
안내·소식
공지사항
연구소 소식
자료실
연구소 회칙
학술 행사
지금까지 연세대학교 비교사회문화연구소가 (단독 또는 공동으로) 주최해온 학술 행사에 관한 정보. 학술 행사에는
학술대회
,
콜로키움
,
포럼 및 북토크
등이 포함됩니다.
학술 행사 전체 목록
학술대회
Search
기획 취지
친밀성과 공공성에서 접근하는 ‘한일연대’: 문학・문화・운동
2024/11/02 12:30-18:30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백주년기념홀
공동 주최
모시는 말씀
존재생성의 역사와 정치
2024/09/27 → 2024/09/28
온라인 ZOOM
공동 주최
모시는 글
젠더·어펙트의 실천적 지리와 대안적 역사
2023/10/13 → 2023/10/14
온라인 ZOOM
공동 주최
모시는 글
보편적 어펙트 연구 너머의 지형도 그리기
2022/09/30 → 2022/10/01
온라인 ZOOM
공동 주최
<밀양 탈핵탈송전탑 운동의 기억과 공동체 (장소성의 정치)>
❐공동 주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산하 동아시아고전연구소 & 비교사회문화연구소
❐일시 : 2017년
12월 2일(토) 09:30~18:00
❐장소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100주년 기념홀 (위당관 6층)
<1부>
❐ 사회: 권창규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10:00~10:30 ◈발표1 밀양 송전탑 사건을 둘러싼 정당성 담론의 전개: 심형준(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김시연(연세대 국문과)
10:30~11:00 ◈발표2 밀양 탈핵탈송전탑 운동 주체로서의 '여성': 김영희(연세대 국문과)
11:00~11:30 ◈발표3 공동체심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밀양 탈핵 운동: 정안숙(유타대 아시아캠퍼스 심리학과)
11:40~12:40 ◈토론 구형찬(연세대 동아시아고전연구소), 이미라(연세대 학부대학), 한규석(전남대 심리학과)
<2부>
❐ 사회: 김영희 (연세대 국문과)
밀양 탈핵탈송전탑 운동의 기억과 공동체(장소성의 정치)
2017/12/02 09:30-18:00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백주년기념홀
공동 주최
한국의 근대성과 기독교의 문화정치: 지식, 망탈리테, 운동
2015/06/18 → 2015/06/19
연세대학교 산학협동연구관 310호
시민에서 민중까지, 저항적 주체의 기획과 역사
2014/07/03 14:00-17:30
연세대학교 학술정보관 7층 세미나실
단독 주최
대중의 실감, 욕망, 정동의 문화정치 — 1960~70년대 한국과 일본의 대중사회 재현과 생활세계
2013/01/18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장기원국제회의실
단독 주최
모시는 말씀
전쟁: 권역의 사태, 경계의 사건
2012/02/17
연세대학교 새천년관 112호
대중의 이름, 얼굴, 욕망의 문화정치 — 1960~70년대 한국과 일본의 대중사회 담론과 호명의 정치
2012/02/10 10:00-18:00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장기원 국제회의실
단독 주최
콜로키움
Search
모시는 말씀
12월 3일 비상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한국 사회는 민주주의가 무엇인지를 질문하고, 민주주의를 만들어온 힘이 ‘민중/군중’에게 있음을 느끼는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에 비교사회문화연구소에서는 법과 제도로서의 민주주의를 재고하고, ‘민중/군중’에 대한 낙관주의나 비관주의 양쪽을 넘어서 민중적 정동과 ‘윤리’를 역사와 문학의 자원 속에서 질문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가게모토 츠요시는 2024년 일본에서 출간된 『근대조선문학과 민중』에서 식민지기 문학 속 민중 형상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이 분석을 확장시켜 「한국문학은 삶의 원동력을 어떻게 그려냈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요시다 유타카는 2024년에 한국에 번역된 『갖지 못한 자들의 문학사』에서 카리브해 문학 속 민중의 형상을 분석했습니다. 이번에는 ‘왜 민중/군중이 중요한가?’라는 질문을 통해 여러 층위의 집합적 주체를 조명하면서 정동과 윤리의 문제를 제기합니다. 한국과 카리브해의 식민주의 역사와 문학 속 ‘민중/군중’의 형상/표상을 연결시킴으로써, 12월 3일 이후의 시간을 사유하고 새로운 집합적 주체의 정동과 윤리, 그리고 관계를 고민하는 자리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제34회 ‘민중/군중’의 형상·표상을 다시 감각한다
2025/02/25 13:00-17:50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108호 및 ZOOM
단독 주최
모시는 말씀
제33회 팔레스타인 제노사이드와 정착 식민주의의 진화
2024/02/20 13:00-18:00
연세대학교 위당관 526호 및 ZOOM
단독 주최
모시는 말씀
제32회 Poetry... 인/종주의를 넘어선 포스트 메모리 ‘에밀리 정민 윤’ 특별강연 『우리 종족의 특별한 잔인함』
2023/06/08 15:00-17:00
온라인 ZOOM
공동 주최
모시는 말씀
제31회 전쟁과 ‘내부’ 식민지
2023/02/21 13:00-17:3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3호
단독 주최
모시는 말씀
제30회 ‘민중’과 ‘친선’ — 한국근대문학에 접근하는 두 개의 외부
2022/02/22 14:00-18:00
온라인 ZOOM
단독 주최
모시는 말씀
제29회 민주주의는 마이너리티를 배반하지 않을 수 있는가? — 미얀마 민주화 운동 속 소수민족, 여성, 난민
2021/06/30 19:00-22:00
온라인 ZOOM
공동 주최
모시는 말씀
제28회 교차하는 몸들·장소들·기록들
2021/02/23 14:00-17:30
온라인 ZOOM
단독 주최
모시는 말씀
제27회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 – 테레사 학경 차의 미학과 재일조선인여성의 말
2019/11/29 15:0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3호
제25회 국학연구원 비교사회문화연구소 콜로퀴움
기독교를 통한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의 가능성
: 한중일 기독교 출판과 미션스쿨을 통한 자원의 공유와 이동
•
발표 : 김성연 [국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
일시 : 2019년 4월 24일(수) 오후 4시장소 : 연세대학교 위당관 313호
•
사회: 김성희 (국학연구원 비교사회문화연구소 전문연구원)
제25회 기독교를 통한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의 가능성: 한중일 기독교 출판과 미션스쿨을 통한 자원의 공유와 이동
2019/04/24 16:0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3호
단독 주최
모시는 말씀
제24회 비교사회문화연구소 콜로키움
2019/02/21 16:0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3호
Load more
기타(포럼·북토크)
Search
탈식민의 실패와 ‘반일’의 현재성
2023/12/15 12:00-18:00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백주년기념홀
공동 주최
<제65차 사회인문학 포럼>
❐ 일시 : 2019.4.5.(금) 오후 4시-5시30분 (6시: 저녁식사)
❐ 장소 : 연세대학교 위당관313호 국학연구원 회의실
❐ 발표자 : 강지은 선생님 (국립대만대학 국가발전대학원)
❐ 주제 : 동아시아와 조선유학사
주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비교사회문화연구소
후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강지은 선생님은 대만대학에서 조선사상사를 가르치고 계시며, 저서로 <朝鮮儒學史の再定位―十七世紀東アジアから>(東京大学出版会, 2017) 및 한/중/일어로 다수의 논문이 있습니다. 4월5일 발표회는 20세기 이후 연구자들이 그린 조선 유학사에 대한 문제제기와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조선 유학사를 재고찰한다는 것의 의미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비교사회문화연구소 올림
제65차 사회인문학포럼 〈동아시아와 조선 유학사〉
2019/04/05 16:0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3호
공동 주최
2018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연구소 & 국학연구원 비교사회문화연구소 공동포럼
제목: 마이크로컴퓨터와 한글 1.0의 시대-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와 영어공용화론
일시: 2018년 5월 16일 수요일 오후 5-7시
장소: 연세대학교 위당관 501호
발표: 김다혜(맥길대학교)
사회: 백문임(연세대학교)
마이크로컴퓨터와 한글 1.0의 시대: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와 영어공용화론
2018/05/16 17:00
연세대학교 위당관 501호
공동 주최
Copyright ⓒ
비교사회문화연구소
2011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2호 메일 : ysbisamu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