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된 이래 연세대학교 비교사회문화연구소가 걸어온 발자취
2011
비교사회문화연구소 개소 | |
12월 | 신형기 교수 연구소장 취임
제1회 콜로키움 〈재만 조선인 취적 문제를 통해서 본 호적과 국적과 국가문제〉 개최 |
2012
2월 | 국내학술대회 〈전쟁: 권역의 사태, 경계의 사건〉 개최
국제학술대회 〈대중의 이름, 얼굴, 욕망의 문화정치〉 개최 |
5월 | 제2회 콜로키움 개최 |
8월 | 제3회 콜로키움 〈Reading the City Surface of Colonial Seoul-Kanji and Voice〉 개최 |
11월 | 제4회 콜로키움 〈해방 직후의 반공이야기와 대중〉 개최 |
2013
1월 | 국제학술대회 〈대중의 실감, 욕망, 정동의 문화정치〉 개최 |
3월 | 제5회 콜로키움 〈Betwixt Empire and Nation – Decolonization, Japanese Repatriation, and the Korean Economy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1945-1948〉 개최 |
5월 | 제6회 콜로키움 〈화이트 시티를 떠나며 – 문명, 폭력, 윤치호〉 개최 |
9월 | 제7회 콜로키움 개최 |
12월 | 제8회 콜로키움 〈뉴코리안 시네마에서 새롭게 상상하는 식민지 조선과 그 문화혼성〉 개최 |
2014
5월 | 제9회 콜로키움 〈It’s Madness! The Suicidal Person and the Politics of Care in Colonial Korea〉 개최 |
7월 | 국제학술대회 〈시민에서 민중까지– 저항적 주체의 기획과 역사〉 개최 |
8월 | 제10회 콜로키움 개최 |
12월 | 제11회 콜로키움 개최 |
2015
2월 | 제12회 콜로키움 〈죽은 자의 귀환: 전후 일본의 특공위령과 죽음의 정치〉 개최
김현주 교수 연구소장 취임 |
5월 | 제13회 콜로키움 〈19세기 일본 유학과 메이지 유신〉 개최 |
8월 | 제14회 콜로키움 개최 |
11월 | 제15회 콜로키움 〈현대농촌일기를 통한 한국농민사회의 혼종적 근대성 탐구〉 개최 |
2016
2월 | 제16회 콜로키움 <키워드와 네트워크 –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 지도 분석> 개최 |
5월 | 제17회 콜로키움 <제국이라는 포획 장치와 탈중심의 문화지리학 – ‘정조대(貞操帶)’로서의 대동아와 식민지 말기 아시아 상상들의 누출(漏出)을 중심으로> 개최 |
7월 | 『한국의 근대성과 기독교의 문화정치』 발간 |
11월 | 제18회 콜로키움 개최 |
2017
2월 | 제19회 콜로키움 개최
이헬렌 교수 연구소장 취임 |
5월 | 제20회 콜로키움 〈장소성의 정치-용산〉 개최 |
12월 | 공동학술회의 〈밀양 탈핵탈송전탑 운동의 기억과 공동체〉 개최 |
2018
3월 | 제21회 콜로키움 〈메이지기 일본의 경어(敬語) 인식: 하가 야이치의 『国民性十論』을 중심으로〉 개최 |
5월 | 공동포럼 〈마이크로컴퓨터와 한글 1.0의 시대: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와 영어공용화론〉 개최 |
6월 | 제22회 콜로키움 〈허스토리, 자료와 증언이 만나다〉 개최 |
8월 | 『동아시아 역사와 자기 서사의 정치학』 발간 |
12월 | 제23회 콜로키움 〈Transnational Archives: Cold War, Post-colonialism and Korean Studies〉 개최 |
2019
2월 | 제24회 콜로키움 개최
김항 교수 연구소장 취임 |
4월 | 제65차 사회인문학포럼 〈동아시아와 조선 유학사〉 개최
제25회 콜로키움 〈기독교를 통한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의 가능성: 한중일 기독교 출판과 미션스쿨을 통한 자원의 공유와 이동〉 개최 |
11월 | 제27회 콜로키움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 – 테레사 학경 차의 미학과 재일조선인여성의 말〉 개최 |
2020
코로나19로 콜로키움 연기 |
2021
1월 | 『Toward Democracy: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1945-1980』 발간 |
2월 | 신지영 교수 연구소장 취임
제28회 콜로키움 〈교차하는 몸들·장소들·기록들〉 개최 |
6월 | 제29회 콜로키움 〈민주주의는 마이너리티를 배반하지 않을 수 있는가? – 미얀마 민주화 운동 속 소수민족, 여성, 난민〉 개최 |
2022
2월 | 제30회 콜로키움 〈'민중'과 '친선' – 한국근대문학에 접근하는 두 개의 외부〉 개최 |
6월 | 제29회 콜로키움 〈민주주의는 마이너리티를 배반하지 않을 수 있는가? – 미얀마 민주화 운동 속 소수민족, 여성, 난민〉 개최 |
2023
2월 | 제31회 콜로키움 〈전쟁과 ‘내부’ 식민지〉 개최 |
6월 | 제32회 콜로키움 〈Poetry... 인/종주의를 넘어선 포스트 메모리 ‘에밀리 정민 윤’ 특별강연 『우리 종족의 특별한 잔인함』〉 개최 |
10월 | 2023 국내학술대회 〈젠더·어펙트의 실천적 지리와 대안적 역사〉 개최 |
12월 | 북토크 〈탈식민의 실패와 ‘반일’의 현재성: 레오 칭(Leo Ching) 『안티-재팬: 탈식민 동아시아의 감정의 정치학』(소명출판, 2023)〉 개최 |
2024
2월 | 제33회 콜로키움 〈팔레스타인 제노사이드와 정착 식민주의의 진화〉 개최 |
6월 | 『수용, 격리, 박탈: 세계의 내부로 추방된 존재들 동아시아의 수용소와 난민 이야기』 발간 |
9월 | 2024 인문사회연구소 공동학술대회 〈존재생성의 역사와 정치〉 개최 |
11월 | 국제연대와 문학・문화교류를 위한 사회토론회 〈친밀성과 공공성에서 접근하는 '한일연대': 문학・문화・운동〉 개최 |
2025
Copyright ⓒ 비교사회문화연구소 2011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2호
메일 : ysbisamu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