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소개
연구·학술 활동
안내·소식
자료실
연구소의 목적과 방향성
연구소 연혁
연구소 사람들
학술 행사
공동 연구
연구 결과로서의 저술
공지사항
연구소 소식
연구소 회칙
연구소 소개
연구소의 목적과 방향성
연구소 연혁
연구소 사람들
연구·학술 활동
학술 행사
공동 연구
연구 결과로서의 저술
안내·소식
공지사항
연구소 소식
자료실
연구소 회칙
연구 결과로서의 저술
연세대학교 비교사회문화연구소가 마련한
학술적 대화의 장
이 바탕이 되어 학술지 논문 또는 책으로 발간되기에 이른 저술들
Search
책소개
한국 근대성과 근현대 사회 전개에 큰 영향을 끼친 기독교의 관계 탐구
이 책은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개인, 공동체, 정치체를 가로지르며 여러 차원에서 발현된 기독교의 역할을 포착하고 그 위상을 새로운 시각에서 보려는 인문.사회과학 학자들의 공동연구 논문집이다.
기독교는 한국 사회 혹은 국가를 강하게 사로잡은 ‘문명화’의 주요 기제로 기능했으며, 한국인의 근대적 이념.인식.심성체계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삶의 문법과 치열한 갈등이나 경합을 벌였다. 각종 기구나 제도를 구축하고 실천적 운동과 담론을 생성했다는 점에서, 나아가 집단의 생활방식과 가치규범을 생산하고 개개인의 내면영역에 관여했다는 점에서, 기독교는 근대 한국에서 진행된 광범위하고 다양한 문화정치의 뚜렷한 발원지이자 실연 장소가 되었다.
이 책은 근대 초기, 식민화, 냉전기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변화해온 기독교라는 무대의 안팎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제도, 이념, 감각, 지식, 운동으로서의 기독교 처럼 그것의 얼굴과 표정은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
목차
<제1장 - 사회·문화 장치로서의 기독교>
신규환(연세대 의과대학), 한중 선교병원의 ‘정체성’ 논쟁 비교연구:제중원과 시의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연(연세대 국학연구원), 근대 지식의 구축과 미션스쿨의 좌표:연희전문학교 도서관 기증사를 중심으로 김인수(연세대 국학연구원), 기독교와 사회조사:일제하 이훈구의 토지이용조사의 정치적 의미
<제2장 - 인식·사상 자원으로서의 기독교>
정미현(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의 선교 사역과 여성의식 정한나(연세대 국문학과), 재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의 토포스와 『기독청년』의 기독교 담론 강동호(연세대 국문학과), 세속화와 한국 근대시의 형성
『한국의 근대성과 기독교의 문화정치』
도서출판 혜안
2016
책소개
연세국학총서 116권. 한국문학, 일본문학, 비교문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로 구성된 비교사회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본격적인 '자기서사' 연구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근대적 개인의 경험을 복합적으로 규명한다는 장기적 기획의 성과물이다.
특히 한국의 자기서사 출판물들을 폭넓게 조사하여 목록화하는 작업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자기서사가 만들어진 역사적 과정을 인문사회과학적 방법으로 추적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아시아에서 자기서사가 갖는 특이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근현대'라는 시간성과 '동아시아'라는 장소성이 각인된 동아시의 역사 경험의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와 문제의식을 이끌어낸다.
목차
<서문> 자기 서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제1부 동아시아의 유령들, 시대의 알레고리>
제국의 딸로서 죽는다는 것: 식민지 시기 재조선 일본인의 일기 _ 이헬렌 혁명을 팔아넘긴 남자: 유폐되는 혁명과 음모 서사의 틈입 _ 김항 체제의 시간과 저자의 시간: 서준식의 옥중기와 자기 서사의 정치학 _ 임유경
<제2부 문화 냉전, 국가 서사의 히스테리>
집단 언어와 실어증: 중국 문인들의 한국전쟁 참전 일기 _ 조영추
『동아시아 역사와 자기 서사의 정치학』
앨피
2018
Acknowledgments
Preface__ Theodore Jun Yoo
Introduction: What Is South Korea?__ John Lie
PART I: LIBERATION AND THE POLITICS OF THE PEOPLE
1.
The State as Betrayal and People as Refugees: The Politics of Return __ Yerim Kim
2.
Street Politics and the Production of Representations __ Cheon Junghwan
3.
Days and Nights of Taking up Arms: Guns, Young Men, and Liberation __ Hyeryoung Lee
PART II: THE COLD WAR’S HOT WAR: CONFLICT, RECONSTRUCTION, AND FREEDOM
1.
The State as God: North and South Korean Occupation and Mobilization Policies During the Korean War__ Kim Dong-choon
2.
Morals and Liberal Democracy After the Korean War__ Lee Bong-beom
3.
Traveling in Asia: The (Im)possibility of Intraregional Traffic __ Chang Se-jin
Toward Democracy: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1945-1980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21
책소개
질서나 보호의 이름으로 정당화할 수 없는 ‘사회라는 수용소’ ‘우리 안의 수용소’에 대한 인류학적 탐구. 한국·일본·타이완 등지에서 저마다 이 문제를 고민해온 연구자·활동가 17인은 동아시아의 포로수용소에서 한센인 마을까지, 식민지 시대에서 코로나 팬데믹에 이르는 100년의 시공간을 아우르며 세계의 내부로 추방당한 존재들의 진술에 주목한다.
전쟁과 재해에 휘말려, 장애와 질병을 지녔다는 죄목으로, 국적이나 신분을 이유로 수용되고 격리되고 존엄을 박탈당한 이들의 삶은 동아시아 100년사의 가장 어둡고 긴 그림자다. 따라서 그들의 목소리를 채집해 복원하고 탐문하는 작업은 ‘최악의 일은 지나갔다’고 장담할 수 없는 우리의 현재를 수렁에서 밀어올리는 동력이자, 적의와 불신으로 바람 잘 날 없는 동아시아 시민사회를 공동체로 연결해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피난과 수용 사이에서 - 신지영
I ‘사회’라는 수용소: 재해, 귀환, 피난
재해 속 빈곤의 비/가시화: 아시오광독사건의 환경사회적 재검토 - 김보람 ‘귀환’과 ‘정착’ 사이에서: 해방기 소설 속 전재민 서사를 둘러싼 역학 - 쉬징야 박탈 혹은 국가와 사회 사이의 난민 : 전시 ‘가옥 상실’과 ‘가옥 파괴’의 자리에서 - 김예림
II 수용소와 피난소의 경계: 질병, 젠더, 자활
격리와 단가: 식민지 타이완의 한센병 환자들 - 호시나 히로노부 / 김보람 옮김 오무라수용소를 둘러싼 젠더화된 기억 서사: 수용소의 공간, 피난소의 시간 - 조경희 1960~1970년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자활’의 한계 – 김아람
『수용, 격리, 박탈: 세계의 내부로 추방된 존재들 동아시아의 수용소와 난민 이야기』
서해문집
2024
Copyright ⓒ
비교사회문화연구소
2011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위당관 312호 메일 : ysbisamun@naver.com